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7월부터, 공과금 부담 덜어주는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시작

by 마미로그_ 2025. 5. 9.
반응형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5년 제1차 경제관계장관회의 결과에 따라, 올해 7월부터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이 지급됩니다. 물가 상승과 고금리로 경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공공요금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입니다.

📌 목차

 

정책 개요

 

‘부담경감 크레딧’은 정부가 물가 상승에 따른 공공요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마련한 공공요금 지원 사업입니다. 전기, 가스, 수도 등 실생활에 직결되는 공과금을 대상으로 하며, 연말까지 약 300만 명의 소상공인이 지원 대상입니다.

 

지원 금액 및 항목

  • 총 예산: 1.6조 원
  • 지원 한도: 소상공인 1인당 최대 50만 원
  • 지원 항목: 전기요금, 금, 수도요금 등 공공요금 항목

 

신청 대상

 

이번 크레딧은 연 매출 3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중기부와 지자체의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선별하며, 사업자등록 상태와 업종 등에 따라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및 지급 시기

 

  • 지급 시작: 2025년 7월부터
  • 지급 마감: 2025년 연말까지 순차 지급 예정
  • 집행 목표: 7월 중 전체 예산의 70% 이상 조기 집행

 

신청 방법

 

신청은 별도 온라인 플랫폼 또는 지자체 창구를 통해 이뤄질 예정입니다. 행정안전부 및 중기부가 운영하는 포털에서 본인 인증 후 신청 가능하며, 구체적인 일정과 절차는 6월 중 공고될 예정입니다.

 

경제관계장관회의 2025년 추경예산 집행계획 논의 공식 보도자료

 

자주 묻는 질문

 

  • Q. 기존에 공공요금 할인 혜택을 받고 있는데 중복 수혜 가능한가요?
    A. 중복은 일부 가능하지만, 세부 항목별로 제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안내문 확인 필요
  • Q.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프리랜서도 신청할 수 있나요?
    A. 아니요, 부담경감 크레딧은 반드시 사업자 등록이 된 소상공인만 신청 가능합니다.
  • Q. 신청 후 언제 받을 수 있나요?
    A. 신청이 완료되면 검토 후 약 2주~4주 내 크레딧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함께 지원되는 다른 민생사업도 확인하세요

 

  • 상생페이백 (1.4조원)
  • 지역사랑상품권 할인 보조금 (4,000억 원)
  • 민생 SOC 사업 (철도, 도로 보수 등)
  • 임대주택 리츠 자금 (1,500억 원 출자)

기획재정부 경제관계장관회의실 내부 전경, 사람 없이 정부 로고와 회의 테이블이 강조된 모습

📌 놓치면 안 되는 글

소상공인지원금 부담경감크레딧 공공요금지원 기획재정부정책 2025년추경 중소상공인혜택 전기요금지원 가스요금지원
반응형